본문 바로가기
  • 智慧 로 삶의 마침표 찾아가는 窓
관광여행,등산/대전재향경우산악회

대전경우산악회 10월산행

by 보덕봉 2014. 10. 5.

대전광역시재향경우산악회 10월 산행 참석

                 <자연보호 활동도 병행)

 

2014년10월4일 경우산악회 개편후 2회 산행일이다.

오늘은 산행이 아니라 유적지 답사라 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가는곳은 강원도 영월땅 단종 유배지와 김삿갓 마을 등이다.

 

어찌하다 못가본곳이라서 기대속에 참석 했다. 개편된 성황에서 인지 10~20년 못보던 얼굴들이 보인다, 반가웠다.

08:00시 구 시민회관뒤 에서 출발, 개천절에 이은 연후로 교통이 침체되였지만 3시간 정도걸려 목적지에 도착할수 있었다.

 

산행 하기에는 알맞은 전형적인 가을 날씨이고..

하지만 여기에서 자연히 2그릅으로 나뉜다.

한그름은 김삿갓 생장지 고지를 다녀 오는 그릅과, 주변을 자유롭게 관광하는 그름이다.

희수를 넘긴 나지만  1그릅으로 낄 수있었지만 오늘은 주변 관광에 매력을 느끼게 하였다.

 

총무를 맡고있는 박상일 경우 시인의 열성적이고 관광지으 해박한 지식으로 안내를 하여 즐겁게 여행 할수있어 좋았다.

12살의 나이로 왕이 되였으나 숙부 세조에게 왕위를 찬탈 당하고 유배되였다가 죽임을 당한 비운의 단종 의 유배지 영월 땅 청령포, 관풍헌, 단종 묘 장릉을 답사하고.

조선조 말엽 풍류객이자 천재시인이고 19세기 세계시단의 3대 혁명가로 높이 평가 받는 난고 김삿갓 마을을 찾아 생애를 돌아 보게 되였다.

 

                          ※   이번에는 여러가지 설명을 곁드린 사진은 생략하고 몇장 사진만 흔적을 남긴다 .↓

 

 

 

 

                                                             장능으로 가는 회원들

                                장능; 端宗(1441~1457)재위1452~1455  12세나이로 6대 왕위 올랐다.1457년(세조3년)에 사약받고 승하.

                                                 1516년(중종11년) 암장지를 찾아 왕능의 모습을 갖추었고,

                                                                  1698년(숙종24년)에 묘호를 단종, 능호를 莊陵이라 함.

 

 

 

                                     

                                          장능으로 가는길에 神道와 王路 로 구분된 도로가 있다. 관랍객은 왕로로 가야 한다.

                                            요즘은 신이 많이 다니지 안는지 신도에 풀이 많이 살아있다.^^^^

 

 

                                               靈泉(영천)  우물이다.

                                   주요상설(象設)로는

                                         배견정, 단종역사관, 장판옥, 배식단사, 수복실, 홍문살, 비각, 영천, 정자각, 엄흥도 정려각 등이 있다.

 

                                         장릉 정자각에서는 매년4월27일 제향을 올리는데 ,,, 오늘도 제향을 위해 모인 종인들.                            

 

                                      청령포 !!!울창한 송림과 간종의 슬픔을 간직한 육지 속의 작은 섬이다.

                                      영월군 남면 광천리 남한강 상류에 위치 단종의 첫 유배지로 국가지정 명승 제50호 지정.

                                      성삼문 등 사육신들의 상왕복위 움직임이 누설 노산군을 강등 첫 유배지다.

                                      당시 호장(지금 이장) 엄홍도 만이(죽은후 시신 거둔 인물) 수시 문안드렸다 한다.

                                     

 

 

                                                   예나 지금이나 조각 배가 없으면 건널 수 없다.

 

                                   당시 단종이 머물던 본채와 궁녀 및 관노들이 기거하던 행랑채 복원된 건물이다.

 

 

                                     자규시 (子規詩)  -  열일곱 단종 의 절절한 시 한구  -  무엇때문에?

                                               원통한 새 한마리가 궁중을 나오니          외로운 몸 그림자마져 짝읽고 푸른 산을 헤메누나

                                                밤은 오는데 잠 들 수가 없고                 해가 바뀌어도 한은 끝 없어라

                                                새벽 산에 울음 소리 끊어지고 달이 휜 빛을 잃어 가면

                                                피 흐르는 골짜기에 떨어진 꽃만 붉겠구나

                                                하늘은 귀먹어 하소연을 듣제 못하는데    서러운 이몸의 귀만 어찌 이리 밝아지는가....

                                          주변에는 수백년 된 거송들이 울창하다.

 

                                                             우측이 총무를 맡아 수고 하시는 경우 시인 박 상 일

 

 

 

 

                                                           난고 김삿갓 문학조각공원

 

 

                                                                                   ↓ 아래 사진 우측이 본인...  옆에는 장명수 경우

 

                                                     김삿갓 묘 앞에서 현대판 감삿갓 으로 부터 난고와 묘지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는 경우들.

 

 

 

 

                                    ♬ 여기에서 와 닷는 난고의 시 한구 적어 놓슴니다

                                         천리 길 나그네 가진 것 겨우 지팡이 뿐이니..      남은 돈 일곱 닢 오리려 많다 하겠네....

                                         주머니 속에 깊이깊이 간직하자 다짐했건만...    석양에 주막을 만나니 아니 마시고 어쩌리...

                                

                                  

                               유적지 답사와 함께 아름다운 강산 가꾸기 자연보호 도 하고 단체 기념 사진 -- 수고들 했습니다

                                앞에서 셋째줄 우측으로부터 두번째- 대전 경우회장  한상익 , 뒷줄 우측 끝에서 두번째가- 경우산악회장  박시창.

                                뒷줄 끝에서 좌측 첫번째가 총무 박상일 시인.

 

6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