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智慧 로 삶의 마침표 찾아가는 窓
웃음방

* 구수한 옛날 야그 한자락

by 보덕봉 2021. 10. 3.

☞구수한 옛날 야그 한자락☜

<그때 그날 밤>

*조선 숙종때 '이운봉'이란 사람이 살았다.

열여덟 살 白面書生 '이운봉'은
단봇짐 하나 달랑 메고 문경(聞慶)새재를 넘고

탄금대(彈琴臺)를 지나 주막(酒幕)집에서 겨우 새우잠을 자며,

걸어걸어 '한양'에 다달아
'당주동' 구석진 여관에 문간방 하나를 잡았다.

과거가 한 달이나 남았지만 '한양' 공기도 쐬고 과거(科擧) 흐름도 잡을 겸 일찍 올라온 것이다.

허나,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아
한 달 동안 먹고 잘 일을 생각하면 앞이 캄캄하였다.

자신이 '행랑(行廊)아범 노릇을 하겠다'며,
좁은 문간방 값을 깎고 또 깎아 다른 방의 반값에 눌러 붙었다.

밤늦게 외출했던 손님이 돌아올 때면
얼른 나가 대문을 열어 주기도 하고,

아침엔 일찍 일어나 마당도 쓸었다.

밥때가 되면 여관 밥은 비싸서 못 사 먹고
밖에 나가 선술집 국밥을 사 먹기도 하지만,

때 거르기를 밥 먹듯이 했다.

산적(山賊)처럼 생겨 먹은 '여관 주인'은
'운봉'이를 제집 하인(下人) 다루듯

함부로 심부름을 시키고
툭하면 욕을 퍼부어 댔다.

하지만, 안주인은 달랐다.
바깥주인 몰래 누룽지도 갖다주고,

삶은 감자도 갖다주며 인정(人情)을 베풀어
어떤 땐 가슴이 뭉클해 지기도 했다.

장대비가 주룩~주룩~ 내리던 밤,
안주인은 닭죽에 호리병 가득 탁배기까지 챙긴

소반(小盤)을 들고 '운봉'이 방에 들어왔다.

바깥 주인한테 들킬세라
운봉이가 눈을 크게 뜨자

눈치 빠른 안주인은
“걱정하지 마!

그 화상은 노름판에 갔으니
내일 들어올지, 모레 들어올지 몰라.”

그러잖아도 배가 무척 고프던 참에
소반을 차고 앉은 '운봉'이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닭죽을 비우고 나자,
안주인이 콸콸콸 탁배기 한 잔을 따라 주었다.

탁배기도 단숨에 들이켜고 나자
안주인이 “나도 한 잔 따라 주게.”

'운봉'이 술을 따라주자
술잔을 서슴없이 비우고 난 '안주인'은

한숨을 푹 쉬더니 신세 타령을 늘어 놓았다.

"여관에서 모은 푼돈이 좀 쌓였다 하면
이 화상은 노름판에 몽땅 처박아 버리고

화난다고 몇 날 며칠 술독에 빠져 살고~~~,
아이고~ 아이고~ 내 팔자야~~~~~.”

어느덧 호리병 탁배기가 바닥나자
'안주인'은 부엌에서 또 한 병을 들고 왔다.

마당을 가로 지르며 장대비를 맞아
홑적삼이 몸에 짝 달라붙어

40代 초반의 흐드러진
육덕(肉德)이 그대로 드러났다.

아흐~~~, '운봉'이의 양물이
홑바지를 뚫을 듯이 솟아 오른 걸,

적삼을 벗으며 '안주인'이
뚫어지게 보더니 양물을 덥석 움켜 쥐었다.

"나 좀 살려주게~~~"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물고 빨고 법석(法席)을 떨었다.

소나기 한줄기가 뿌리고
지나가자 옷매무새를 고치며

'안주인'이 "운봉이 자네는
이번에 알성급제(謁聖及第)하고

나중에 감사(監司)에 오를 걸세.”

'운봉'은 웃으며 지필묵(紙筆墨)을 꺼내
스스쓱~ 글을 써 주었다.

'안주인'은 그걸 들고
호호호 ~ 하고 한바탕 웃었다.

세월(歲月)은 흐르고 흘러~
그로부터 2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평양 감영(監營)에 웬 노파(老婆)가 찾아와 
"평양감사(平壤監司)의 이모라"며

감사(監司)를 만나겠다고 떼를 썼다.

평양감사(平壤監司)가
“나는 이모가 없는데…” 하며

노파(老婆)를 만났더니,
뜻밖에도 바로 그 옛날 당주동(唐珠洞)

여관(旅館)의 안주인이 아닌가! 

"그날 밤에 써 주었던 종이를
기름 먹여 이렇게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감사(監司) 어른.”

그때 장난으로 써 준 종이엔
이런 글귀가 적혀 있었다.

"감사(監司)가 되면 하루밤 신세 천 냥으로 이 은혜를 갚으리다.
이운봉.’

감사(監司) 덕택에 평양 구경까지 잘하고,
보름 만에 한양 집으로 돌아온 그녀가

천 냥 보따리를 풀자
중풍(中風)에 걸려 누워 있던 남편이

눈이 휘둥그레져 사연을 물었다.
노파(老婆)는 이제 반신 불수가 된 영감이 겁나지 않아,

그때 그날 밤일을 자세히 얘기해 줬다.
그러자 영감이 버럭 화를 내며 하는 말

“야, 이 바보 천치 같은 여편네야! 기왕 주는 거 한 번 더 줬으면

이천 냥은 받았을 것 아닌가!”

??웃으면 복이와요.??

'웃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번-웃고갑시다^  (0) 2023.01.30
웃으면 복이와요^^^  (0) 2022.10.24
오늘은 웃고 사는 날^~^  (0) 2022.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