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智慧 로 삶의 마침표 찾아가는 窓
생활정보/老齡의百科

아내와 나 사이 ♡

by 보덕봉 2022. 8. 11.

 

                                                                                ♡ 아내와 나 사이 ♡                                                                      

詩 /이 생 진

요즘은 망각을
경쟁하듯 합니다.

나는 창문을 열러 갔다가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냉장고 문을
열고서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누구 기억이
일찍 들어오나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은 서서히
우리 둘을 떠나고
마지막에는

내가 그의
남편인 줄 모르고
그가
내 아내인 줄
모르는 날도
올 것입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그것을 무어라고 하겠습니까.
인생?
철학?
종교?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행랑채 마당에서
박경리 문학관 주최로
‘제1회 섬진강에 벚꽃 피면 전국시낭송대회’가 

열렸습니다.

 

60여 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던 낭송시가 바로 

이생진 시인의 이 작품입니다.

 70대 후반쯤 되어 보이는
남성 낭송가의 떨리고 갈라지는 

목소리에 실려 낭송된 이 시는
청중들로 하여금 눈시울을 젖게 하였습니다.


좋은 낭송은
시 속의 ‘나’와
낭송하는 ‘나’와
그것을 듣고있는 ‘나’를
온전한 하나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내 몸의 주인인 기억이
하나둘 나를 빠져나가서
마침내 내가 누군지도 모르게 되는 나이.

나는 창문을 열려고 갔다가
그새 거기 간 목적을 잊어버리고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무엇을 꺼내려고 냉장고에 갔다가
냉장고 문을 열어놓은 채
그 앞에 우두커니
서 있는 장면은
상상만 해도
앞이 막막하고
울컥하지 않습니까?

시인은 차분하게
이 참담한 상황을 정리합니다.


우리의 삶이란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일 뿐이라고.

그리고 자책하는 목소리에 담아
우리를 나무라지요.
거창하게
인생이니,
철학이니,
종교니 하며

마치 삶의 본질이
거기에 있기나 

한 것처럼 핏대를 올리는 당신들은
얼마나 어리석은가 하고.

진리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그러므로
‘아내와 나 사이’의 거리는
우리의 어리석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셈이지요.

오늘도 당신은 좋은일만 있을겁니다.


- 김남호 / 문학평론가 -

 

 

 

받은 카톡글  편집입니다!

2022.5.2.아띠멈.().

http://cafe.daum.net/aznos

http://blog.daum.net/jamyung820

 

 

 

 

'생활정보 > 老齡의百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의 동반자와 행복  (4) 2022.09.05
*우리는 그렇게 혼자가 된다*  (0) 2022.08.21
치매예방 뇌훈련 속담 맞추기  (0) 2022.08.11
치매 예방  (0) 2022.08.07
7%  (0) 20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