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평윤씨-청송심씨 ‘묘지 싸움’ 괜히 했나?
김우림 서울역사박물관장은 16일 고려 중기의 명신 윤관의 아들 윤언이의 묘지명에 따르면 윤관 장군 묘의 위치가 양 가문의 산송 논쟁지인 경기 파주시 광탄면이 아니라 경기 장단군이라고 발표했다. 경기 장단군은 한탄강 이북으로 현재는 북한의 영역이다.
윤언이의 묘비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입수해 창덕궁에 방치돼 오다 1981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됐다. 이 묘비의 뒷부분에 기록된 묘지명에는 ‘경오년(1150년) 4월 14일 임강현(臨江縣) 용봉산(龍鳳山) 숭복사(崇福寺) 동쪽 기슭에 유골을 장례 지내니 아버지 시중 문숙공(윤관)의 능침과 같은 경내이다’라고 적혀 있다. 여기서 임강현은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따르면 파주시가 아니라 장단군에 해당된다는 것이 김 관장의 설명이다.
기록에 따르면 파주에 있는 심지원의 묘가 윤관의 묘역을 침해했다는 파평 윤씨 가문의 주장은 근거가 약해진다. 파평 윤씨 측은 조선 영조 40년(1764) 심지원의 묘 앞에 있던 무덤에서 윤관 장군의 묘비석 조각 2개가 발견되자 이 묘가 연산군 시절 사냥터로 지정되면서 실전(失傳)됐던 윤관의 묘라고 주장해 왔다.
양 가문은 올해 4월 파평 윤씨 종친회 측이 현재 묘역 인근의 중종 땅 2500평을 청송 심씨 종친회에 제공하고 청송 심씨는 심지원의 묘를 이장하기로 합의했다.
김 관장은 “민감한 사안이라 발표를 망설였지만 묘역 이장이라는 문화재 훼손을 막으면서 양 가문의 화해를 이끌어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해 발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2001년 윤언이의 묘지명을 처음 번역했던 한림대 김용선(사학) 교수는 “묘지명의 기록처럼 윤관의 묘가 현재 북한 땅에 위치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후대의 이장 가능성이 남아 있기 때문에 섣불리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참고;조선일보 06,8,18일자 에도 기재 심씨 대종회에서는 경기도 문화재청 등에 행정 소송중이라고.
파평 윤씨 땅 제공해 청송 심씨 조상묘 옮기기로
조선 영조 시대 이후 400여년 동안 이어져온 파평 윤씨와 청송 심씨 두 문중 간의 묘지에 관한 다툼이 일단락됐다.
경기 제2청은 지난 20일 중앙문화재위원회가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윤관(?~1111) 장군의 묘역(사적 제323호)에 있는 심지원(1593~1662)의 묘(경기도 기념물 제137호)를 비롯해 청송 심씨 조상 묘 10여기를 옮기는 국가문화재 주변지역 현상변경 허가신청을 승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결정은 현재 윤관 장군의 묘역에서 불과 3m 정도 떨어져 있던 심지원의 묘 등 청송 심씨 조상의 묘를 현재 위치에서 120여m 떨어진 곳으로 옮기는 대신 파평 윤씨 문중이 9천여㎡를 청송 심씨 문중에 제공하기로 해 가능해졌다.
이로써 조선 중기인 1614년 청송 심씨의 수장으로 영의정을 지낸 심지원이 윤관 장군 묘 바로 위에 부친 묘를 만들고 이 일대 땅을 하사받아 문중 묘역을 만들면서 상대 문중의 묘를 훼손하는 등 영조도 해결하지 못한 채 400여년을 이어온 두 문중 간 묘지 다툼은 마침내 종지부를 찍게 됐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앙숙이 된 양쪽 문중으로부터 이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주문을 받은 심재인 경기 제2청 문화복지국장의 특이한 이력이 화제가 되고 있다. 심 국장은 “아내가 파평 윤씨의 후손이고 나는 청송 심씨의 후손이어서 양쪽 문중의 중재 요청이 거셌다”며 “ 경기도 문화재위원회가 8번씩이나 현상변경 허가신청을 반려했으나
이전할 도문화재의 현 위치에 비석 등의 역사적인 기록을 남기고 옮겨가는 곳에도 이전 경위를 밝히는 비석을 세우는 등의 보완 조처를 거듭했고
1년여에 걸친 문중 간 대타협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고 말했다.
파주/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인용 설명문 출처: 문화재청, 한겨레] |
'修身濟家 > 호운앨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씨 본관의 종류 (0) | 2008.02.17 |
---|---|
청송심씨 유래와 인물 항열 (0) | 2008.02.17 |
심씨 성씨 본원 (0) | 2008.02.17 |
우리나라 성씨 유래 (0) | 2008.02.17 |
조선조 계급제도 (三韓甲族과” 三奴八吏 집) (0) | 2008.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