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송심씨(靑松沈氏) ::
▣ 유래
시조 : 심홍부(沈洪孚)
시조 심홍부(沈洪孚)는 고려때에 문림랑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역임하였다.
심홍부의 4세손인 심덕부(沈德符, 시호는 공정)가 고려 충숙왕 때에 왜구의 침입을 평정하고 공민왕 때에는 중흥9공신의 함명으로 문하시중이 되어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가 청성충의백(靑城忠義伯)에 봉해져서 후손들이 본관을 청송(청성=청송)으로 하였다.
그 후 덕부(德符)는 태조 이성계를 도와 조선 창업에 공을 세우고 판문하부사(判門下府使)와 영삼사사(領三司事)를 거쳐 정종 즉위년에 좌정승(左政丞)에 이르렀다.
- 묘는 경북 청송군 서오리 보광산에 있다.
▣ 인물
덕부의 아들 7형제 대(代)에서 가세(家勢)가 크게 융성하여 가장 화려한 인맥을 이루었다.
세종의 장인이면서도 상왕(上王)인 태종의 비위에 거슬려 끝내 왕명으로 죽음을 당했던 온(溫)은 청성군 덕부의 다섯째 아들이다. 태종이 세종에게 선위한 뒤 병권(兵權)만을 장악하고 있었다. 온의 막내 아우인 청이 군국(軍國)의 대사를 상왕이 쥐고 흔드는 것을 부당하다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박습(朴習)에게 불평한 것이 상왕의 위에 들어가 옥사가 일어났다.
죽음에 임하여 온은 <내 자손들은 대대로 박씨와 혼인하지 말라>고 유언하였다. 그후 심씨는 대대로 그 유언을 지켜 박씨와 혼인을 논하지 않다가 온의 현손(玄孫) 의(祥)와 융(隆)이 박씨와 혼인했는데 후손에 아들이 없거나 자손이 융성하지 못했다고 한다.
동지돈령부사 봉원의 손자 희수(喜壽)는 선조 말에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 좌·우찬성(左·右贊成)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한 후 권신 이이첨의 전횡이 심해지자 병을 핑계로 사직을 청했으나 허락되지 않고 우의정(右議政)에 전임되어, 1614년(광해군 6) 영창대군의 신원을 상소했다가 사형을 당하게 된 정온을 구하여 유배에 그치게 하는 등 훌륭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
특히 그는 상신의 벼슬을 지내면서도 허물어져 가는 집 한 채밖에 없어서 임금이 대궐의 말 한 마리를 보내어 팔아서 집을 고치라고 시켰을 만큼 가난하게 살았으며, 만년에 둔지산(屯之山)에 들어가 시로써 여생을 보냈다.
그밖의 인물로는 임진왜란 때 용맹을 떨쳤던 우정(友正)의 아들 현이 인조 때 여러 군현의 수령을 지내고 돈령부도정(敦零府都正)에 이르러 병자호란 이 일어나자 종사(宗社)를 따라 강화에 피난가서 청병(淸兵)이 상륙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가묘(家廟)의 위패(位牌)를 땅에 묻은 후 국난의 비운을 통탕하는 유서를 쓰고 부부가 함께 자결했다.
역사상 이들 부부처럼 태연하고 절도 있는 죽음은 없었다고 하는데, 그때 부부의 나이가 70세였다. 조카 심동구(沈東龜)가 배를 대놓고 피난할 것을 발을 구르며 재촉하고 있는데 현은 애써 돌려보내고 조복을 입은 다음 동향사백을 하고 임금에게 올리는 유서를 지었다.
<신(臣) 현(言見)은 동향사배하고 남한산성에 계신 주상전하에게 올리옵나이다>로 시작된 이 글의 내용은 임금에 대한 보은의 죽음을 전하는 내용이었다.
그 유서를 외손자 박장원(朴長遠)에게 주어 배를 태워 보낸 다음 부인 송씨를 돌아보며 <정(情)은 백년을 같이하고 의(義)는 한번 죽음을 같이하니 내가 충신이 되고 그대는 충신의 아내가 되지 않겠는가> 하며 함께 죽을 것을 권유하자, 송씨는 <종용당고사(從容堂故事 : 죽음이 주는 생리적 고통이나 정신적 갈등을 무화시킨다는 뜻)을 본받겠나이다> 하고 말했다.
이들 부부는 서로 마주보며 목을 매었는데, 서로의 어깨를 짚고 편안히 운명에 종용한 모습으로 죽어있었다고 한다.
▣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심광언(沈光彦, 1490 庚戌生) : 문과(文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통원(沈通源, 1490 庚戌生) : 문과(文科) 중종32년(1537)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충겸(沈忠謙, 1545 乙巳生) : 문과(文科) 선조5년(1572)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우정(沈友正, 1546 丙午生) : 문과(文科) 선조16년(1583)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연(沈演, 1585 乙酉生) : 문과(文科) 인조4년(162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선(沈○, 1597 丁酉生) : 문과(文科) 인조20년(1642)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추(沈○, 1702 壬午生) : 문과(文科) 영조7년(173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국현(沈國賢, 1714 甲午生) : 문과(文科) 영조23년(1747)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이지(沈履之, 1720 庚子生) : 문과(文科) 영조31년(1755) 정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익운(沈翼雲, 1734 甲寅生) : 문과(文科) 영조35년(1759)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811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
(문과 194명, 무과 37명, 사마시 578명, 의과 2명)
▣ 항렬자
19世
지(之)
20世
능(能)
21世
의(宜)
22世
택(澤)
23世
상(相)
24世
섭(燮)
25世
재(載)
26世
보(輔)
27世
규(揆)
28世
용(用)
29世
녕(寧)
30世
기(起)
31世
장(章)
32世
후(厚)
33世
량(亮)
34世
남(南)
35世
무(茂)
36世
-
37世
-
38世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0世孫은 1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
청송(靑松)은 경상북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청송군의 파천면 일부는 고구려 말에 청기현(靑杞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적선현(積善縣)으로 개칭되어 야성군(野城郡: 盈德)의 영현이 되었다. 적선현은 고려 초에 부이(鳧伊) 또는 운봉(雲鳳)으로 불리다가 986년(성종 5) 청부현(靑鳧縣)으로 개칭되어 예주군(禮州郡: 盈德郡)에 속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예주(禮州: 寧海)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감무를 파견하였다. 1394년(태조 3) 진보현(眞寶縣)을 합병하였다. 1419년(세종 1) 청보군(靑寶郡)으로 승격하였다. 후에 진보와 분리되었고 세조 때 송생현(松生縣)을 병합하여 청송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안덕현(安德縣)을 병합하여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청송군·진보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북도 청송군·진보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진보군 일부를 합하여 8개면으로 개편하였다. 1979년 5월 청송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1983년 영양군 입암면 방전리·홍구리 등 일부를 편입하였다. 현재 청송군은 청송읍과 부동·부남·현동·현서·안덕·파천·진보면 등 1읍 7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송심씨는
1985년에는 총 44,446가구 186,384명,
2000년에는 총 65,744가구 212,717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修身濟家 > 호운앨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 심씨 유래 (0) | 2008.02.17 |
---|---|
심씨 본관의 종류 (0) | 2008.02.17 |
심씨 성씨 본원 (0) | 2008.02.17 |
우리나라 성씨 유래 (0) | 2008.02.17 |
파평 윤,청송심씨 묘지분쟁사건 왜했나? (0) | 2008.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