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전통 노블리스 오블리주
2차대전 때, 루스벨트 대통령의 큰아들인 제임스 루스벨트는 안경이 없으면 일생생활이
불가능한 고도 근시에 위궤양으로 위를 절반이나 잘랐으며, 심한 평발이라서 군화를 신을
수조차 없는 사람이었지만 해병대에 자원입대하여 운동화를 신고 다니면서까지 고된
훈련으로 정평이 나 있던 해병대 제2기습대대에서 복무했다.
제2기습대대가 마킨 제도의 일본군 기지를 기습하는 매우 위험한 작전을 앞두고 대대장
칼슨 중령은 부대대장이었던 루스벨트 소령을 불러 ‘만약 현직대통령의 아들인 귀관이
일본군의 포로가 되거나 전사하거나 하면 일본군은 이를 대대적으로 선전하며 전쟁에
이용할 것이므로 작전에서 제외 하겠다‘ 통보한다.
소령은 이에 강력하게 반발하자,난처해진 칼슨 대대장은 태평양함대 사령관인 니미츠
제독에게 소령을 만류해줄 것을 요청하고 대대장과 생각이 같았던 니미츠 제독은
소령을 불러 훈련에는 참가할 수 있지만 작전에는 동행시킬 수 없는 이유를 간곡하게
설명했지만 이번에는 소령이 아버지의 ‘빽’을 동원한다.
대통령 루스벨트는 해군참모총장 킹 제독에게
‘내 아들은 제2기습대대의 장교다. 내 아들이 위험한 특공작전에 가지 않는다면
누가 그 작전에 가겠는가?‘ 하며
아들 루스벨트 소령을 반드시 마킨 제도 특공작전에 참가시킬 것을 지시한다.
그 것이 루스벨트 소령이 2차대전기간 중 대통령 아버지의 혜택(?)을 본 유일한 경우였다.
소령은 소신대로 작전에 참가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 돌아온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네 아들은 모두 이런 식으로 2차 대전에 참전하였다.
2, 제임스 밴 플리트 8군 사령관의 한국사랑
미국의 입장에서 어찌 보면 자신들과는 크게 상관없었을 한국전쟁에서 그들 스스로도
잘못된 전쟁이라고 투덜대면서도 모두 139명의 미군장성들의 자제들이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그중 35명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당했다.
그들 대부분이 평범한 집 자제들과 똑같이 최전선에서 싸웠으며 특별대우를 받는 경우는
없었다고 한다.
그 들 중에는 52년 대통령에 당선된 아이젠하워 육군원수의 아들인 아이젠하워 소령과
제3대 유엔군 총사령관이었던 마크 클라크 대장의 아들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사람은 바로 한국군 전투력 육성에 지대한 공헌을 세운 제임스 밴 플리트
8군 사령관이다. 밴 플리트 대장의 외아들인 밴 플리트 2세는 야간 폭격기 조종사로
작전수행 중 행방불명되고 공군은 장군의 아들을 찾기 위해서 필사의 노력을 다했지만
끝내 시신조차 확인하지 못한 채 실종 파일럿의 정규 수색시간이 끝나가고 있었다.
이 때 장군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외아들의 실종소식을 듣고도 담담했던 장군은 이제 정규 수색시간은 끝났으니
더 이상의 특별한 수색이나 구조 활동은 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한다.
모든 병사들이 최전선에서 죽음과 싸우고 있는 이 상황에서 내 아들이라고 해서
특별한 대우를 해줘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밴 플리트 대장의 전화 용건이었다.
외아들을 한국전선에서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장군의 한국사랑은 지극했다.
전술 훈련과 체계적인 장교 훈련 프로그램이 미비했던 때문에 한국군이 전선에서 자주
패배를 당하는 이유를 간파하고 이후 장교들의 미군 참모학교 유학과 훈련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었고 우리 육사의 발전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래서 육사 교정에 밴 플리트 장군의 흉상이 있는 것이다.
한국전쟁 중 대장으로 전역 후에도 장군은 전 미국을 돌면서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진
대한민국의 전쟁고아들을 돕기 위한 모금활동 연설에 나서는 등 한국을 돕기 위해
그 어느 한국전 참전 장군들보다 많은 일을 했다.
오늘날 한미우호관계에 공헌이 큰 사람에게 주는 상의 이름이 밴 플리트 상인 이유는
외아들을 잃고도 한국 사랑을 멈추지 않았던
장군의 마음과 그의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기리기 위해서인 것이다.
'감동적 사진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태국의 가짜 女子 ** ★ (0) | 2009.08.26 |
---|---|
어머니와 아내 (0) | 2009.08.05 |
어느 어머니의 이야기 (0) | 2009.07.21 |
누가 이 사람을 아시나요~~ 최승우 예비역 장군 (0) | 2009.07.20 |
“어머니, 그 날 얼마나 추우셨어요.!” (0) | 2009.05.10 |